728x90
반응형

메타마스크 5

메타마스크에 토큰 등록하기

가끔 보면 에어드랍 작업 후 코인을 정상적으로 받았는지? 못 받았는지? 확인을 해달라… 또는 메타마스크에 안보여요… 안준거 아니에요? 어떻게 해야 해요? 메타마스크를 새로 설치하고 지갑 불러오기 했는데 코인이 안보여요. 해킹 당한건가요? 뭐 이런 질문들을 많이 보게 됩니다. 스스로 한번 해결 해 보도록 하죠. 우린 다 큰 코린이잖아요~ 먼저 대부분의 체인이 이더리움 기반 (EVM) 이니까 이더 스캔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이제 본인의 지갑 주소를 입력하여 조회 해 봅니다. 본인의 지갑 정보가 조회 되면 일단 내가 궁금한 건 내 지갑에 있는 코인들이니까 뭐가 들었는지 조회해 볼께요. 제가 조회한 지갑에는 Moby 코인이 10개 들어있군요. 여기 리스트에 없으면 없는 거에요~ view all holdings ..

블록체인 2024.04.15

메타마스크 보안을 위한 크롬 애드온 Fire

메타마스크를 이용하여 민팅이나 DAPP 서비스에 연결하여 작업을 할 때 트랜잭션 승인 창이 뜨면 무의식중에 그냥 확인을 누르게 됩니다. 그런데 이러다 보면 “ 털리죠.. ” 저도 그렇게 엄청나게 털려봤습니다. 순간 앞이 노~래지고 아무런 생각이 안 납니다. 이게 아무리 경험이 많아도 당하게 되어 있어요. 당연히 당하라고 만들었으니 .. 그래서 추가 보안작업을 수행하는 크롬 애드온/익스텐션을 설치하시는 걸 권장합니다. 저는 Fire 라는 녀석을 사용중인데 트랜잭션 요청이 발생되면 일단 Fire 가 내용을 검토해서 의심스러운 작업 등이 있는지 확인하여 알려줍니다. 이게 만능이지는 않지만 그렇게 알려주면 한번이라도 트랜잭션 내용을 살펴보게 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거죠. 나는 D..

블록체인 2024.02.02

메타마스크 : 기존 지갑 가져오기

만약 메타마스크를 사용하고 있었는데 재설치를 했거나 다른 디바이스에 설치를 하는 경우 기존에 사용하던 지갑을 불러올 수 있습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복구구문(Seed Words) 입니다. 먼저 메타마스크를 설치하고 "기존 지갑 가져오기" 버튼을 선택합니다. 메타마스크 개선에 도움을 달라는데 뭐 그냥 패스 하셔도 됩니다. 이제 복구구문을 입력할 차례인데요. 12개의 영어 단어이므로 복사 & 붙여넣기 보다는 직접 타이핑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요즘엔 클립보드에 붙여넣기된 내용을 빼가기도 하니까요. 복구구문을 모두 입력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면 비밀번호 생성 화면이 나옵니다. 본인만이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하시면 되겠죠. 정상적으로 기존에 사용하던 지갑 가져오기가 완료되었습니다.

블록체인 2024.01.02

메타마스크 : 신규 지갑 생성

이번 포스트는 기존에 지갑을 소유하지 않은 새로이 만드는 경우입니다. 메타마스크를 처음 설치하면 새탭이 하나 열리면서 아래와 같은 화면이 출력됩니다. "이용약관 동의"를 선택하면 "새 지갑 생성 버튼"이 활성화 되고 지갑을 새롭게 만들수가 있습니다. 위의 부분은 동의 안하셔도 이용가능한 부분으로 저는 왠만하면 동의하지 않는 주의라. ^^ 메타마스크에서 사용할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송금, 액션등의 트랜잭션 발생시 사용되는 비밀번호로 잘 기억하셔야 합니다. 이 비밀번호는 잊어버린 경우 "지갑삭제" 및 "기존지갑 가져오기"를 통해 재설정 가능합니다. 다음에 나올 복구 구문 (Seed Keywords, Private Key) 이 얼마나 중요한 사항인지 일깨워주는 안내 페이지 입니다. 절대 절대 중요한 것이므로..

블록체인 2024.01.02

메타마스크 : 설치하기

메타마스크를 설치하기 위해 https://metamask.io/ 사이트에 접속합니다. 이곳은 메타마스크의 공식사이트로 피싱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식사이트를 통해 접속하는 것을 습관화 하셔야 합니다. 공식사이트의 download 메뉴 페이지로 들어가면 Install MetaMask for Chrome 버튼을 통해 브라우저에 메타마스크 익스텐션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가 완료 되면 브라우저 오른쪽 상단에 메타마스크의 여우모양의 로고가 표시됩니다.

블록체인 2024.01.0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