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브릿지를 사용해서 이더리움 출금 수수료 아끼기 (반전주의 😱)

천상태자 2024. 3. 19. 10:44
728x90
반응형

국내 거래소에서 이더리움을 출금하려 하면 수수료가 사악하죠.

  • 업비트 : 0.01 ETH
  • 빗썸 : 0.01 ETH
  • 코인원 : 0.02 ETH

 

그래서, 최소한의 수수료로 이더리움을 출금하는 방법을 알아보려 하는데요.

 

빗썸에서 얼마전부터 멀티 체인 출금 을 지원하기 시작했더라구요. 이것을 이용해 볼께요.

마침 저도 이더리움 출금할 일도 있고 하니~

 

빗썸에서 이더리움을 구매하시고 출금 항목에 가보시면

 

 

현재 이더리움을 이더리움 체인, 아비트럼, 옵티미즘으로 전송이 가능합니다.

그 중 옵티미즘이 0.0000009 ETH 로 가장 저렴 하네요. 이더리움은 0.01 ETH 나 들어갑니다.

 

일단 옵티미즘으로 선택하시고, 빗썸에 미리 등록하신 개인지갑으로 출금을 진행합니다.

한참 후 빗썸에서 출금승인, 출금완료 메시지가 오면

이제 개인 지갑 (Metamask) 로 이동해서 입금 상황 살펴봅니다.

 

메타마스크를 띄우고 왼쪽 상단의 네트워크 선택 버튼을 누르면

 

여러가지 체인이 보여질 텐데요. 우리는 옵티미즘으로 출금을 했으니 이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입금된 금액이 맞는지 확인하신 후… (요건 스샷을 못 찍었어요 ㅜㅜ)

요즘 브릿지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오비터(Obiter)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오른쪽 상단에 지갑연결을 눌러 메타마스크를 연결 하신 후

 

 

From 체인은 옵티미즘, To 체인이 이더리움인지 확인하세요. 다르다면 선택하시면 됩니다.

이때 토큰은 ETH 입니다.

 

전송할 수량을 입력하시고, SEND ~

 

 

그러면 브릿지인 오비터에서 이더리움으로 보낼때의 수수료가 표시됩니다.

 

 

0.0065 ETH 가 소모되네요. ㅜㅜ,, 요건 플랫폼 이용 수수료…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것도 내려줘.~~~

확인했으면 Confirm and Send 를 눌러서 진행합니다.

 

 

옵티미즘에서의 트랜잭션 수수료는 0.00000057 ETH 입니다. 완전 저렴하죠.

이제 최종 컨펌을 하게 되면… 발사~~~~

 

옵티미즘에서 이더리움으로 전송되고 있는 모습이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집니다.

 

요건 완료된 모습

 

이제 다시 메타마스크 왼쪽 상단에서 체인 선택을 눌러서 이더리움으로 돌아옵니다.

 

자~ 이제 이더리움 체인에 들어온 이더리움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전체 소모된 수수료를 따져 볼께요.

 

빗썸에서 바로 이더리움 체인으로  보냈다면 0.01 ETH

옵티미즘으로 가서 브릿지를 타게 되면

0.0000009 + 0.0065 + 0.00000057 = 0.00650147 ETH 가 소비되었네요.

약 35% 가량 절약된 듯 합니다. 만약 zksync era 를 지원했다면 조~금 더 싸긴 할 텐데

 

이게 어딥니까. 한푼이 아쉬운 이더리움에서 조금이라도 아끼면서 작업을 하세요.

사용 예시로 오비터를 들었지만 브릿지 서비스들이 엄청 다양하게 존재합니다.

플랫폼 수수료 저렴한 곳, 다양한 체인 지원하는 곳 찾아서 이용하시면 되겠죠.

 

이상으로 이더리움 출금 수수료 아끼는 방법 & 브릿지 이용 방법이었습니다.

 

PS.

이 글을 다~ 작성하고 국내 거래소 수수료들을 적으려 하다 보니

세상에… 코빗의 이더리움 출금 수수료는 0.005 ETH 입니다.

뭐야 브릿지 탄 것보다 더 싸잖아. ㅜㅜ

코빗은 잘 안 쓰다보니 전혀 몰랐네요.

 

네~ 그렇습니다.

이더리움은 코빗 씁시다.

 

그래도 업빗, 빗썸, 코인원 보다는 싸잖~~~

 

지금까지 브릿지 이용방법이었습니다.

728x90
반응형